윤충식 경기도의원이 차세대융합기술연구원 대상 행정사무감사에서 질의를 하고 있다.
[프레스큐=공경진 기자] 경기도의회 미래과학협력위원회 윤충식 의원(국힘, 포천1)은, 지난 11일과 12일 진행된 차세대융합기술연구원(융기원)과 경기테크노파크(경기TP) 대상 행정사무감사에서, 경기도의 미래산업 정책이 “성과 있는 사업의 예산 연속성”과 “균형 있는 지역 발전”이라는 두 축을 함께 지향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윤충식 의원은, 지난 11일 열린 융기원 행정사무감사에서 도내 AI 기업의 높은 호응을 얻고 있는 ‘AI 기업 고성능 컴퓨팅 지원사업’의 2026년도 예산 미반영 가능성을 지적하며, 사업 연속성 확보를 촉구했다. 해당 사업은 2025년부터 4년간 총 100억 원 규모로 추진되고 있으며, 현재 100여 개 기업이 지원을 받고 있다.
윤충식 의원은 “성과가 입증된 사업이 예산 문제로 중단된다면 도내 유망 스타트업의 성장 기반이 흔들릴 수 있다”며 “선제적인 예산 확보를 통해 기업 지원의 공백이 없도록 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윤충식 의원은 총 413억 원이 투입되는 ‘반도체 소부장 요소기술 테스트베드 구축사업’의 일정 관리와 장비 도입 효율성도 점검했다. 외자 장비 납기 지연으로 사업 기간이 연장된 점을 언급하며 “고가 장비의 도입 과정에서 납기 리스크를 체계적으로 관리할 필요가 있다”고 주문했다. 그는 “AI와 반도체는 경기도 산업 경쟁력의 핵심”이라며 “사업 연속성과 효율성을 동시에 담보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윤충식 경기도의원이 경기테크노파크 대상 행정사무감사에서 질의를 하고 있다.
윤충식 의원은, 12일 열린 경기TP 행감에서는 지역 불균형 문제를 정면으로 제기했다. 최근 3년간 ‘기술닥터사업’의 남부 편중이 심화돼 지원금의 80%가 안산·화성·시흥 등 남부권에 집중된 점을 지적하며, “경기TP가 ‘안산TP’로 불리는 상황은 도민의 세금 형평성에 맞지 않는다”고 비판했다.
윤충식 의원은 경기TP가 “북부 시군의 매칭 예산이 부족하다”고 해명하자, “열악한 재정을 탓하기보다 도비 비율을 조정해 해결책을 찾아야 했다”며 “기관의 운영 편의보다 북부 도민의 편익이 우선돼야 한다”고 질책했다. 그는 북부 산업 지원 강화를 위해 ▲북부 예산 쿼터제 적용 ▲북부 전담 기술닥터팀 신설 ▲대진테크노파크와의 협력 사업 추진 등 구체적 방안을 제안했다.
또한 윤충식 의원은 ‘자동차 부품 기업의 친환경차 전환 지원사업’이 산업 현장의 수요에도 불구하고 2026년 예산에서 삭감된 점을 지적하며, “현장 수요가 높은 사업은 도와 협의해 확대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윤충식 의원은 “도민과 기업이 체감할 수 있는 정책이 되려면, 사업의 지속성과 지역의 균형이 함께 확보돼야 한다”며 “경기도가 미래산업 중심지로 도약하기 위해서는 막대한 예산이 투입되는 사업의 효율성을 높이고, 산업지원이 특정 지역에 편중되지 않도록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번 감사는 윤충식 의원이 그간 일관되게 주장해 온 ‘성과 중심 예산 운영’과 ‘균형발전형 산업정책’의 방향을 다시 확인한 자리로 평가된다. 기술과 예산의 흐름이 수도권 내부 격차를 심화시키지 않도록 관리하는 것이 향후 경기도 산업정책의 주요 과제가 될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