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영두 경기도의원이 경기도장애인체육회 행정사무감사에서 질의를 하고 있다.

[프레스큐=공경진 기자] 경기도의회 문화체육관광위원회 유영두 부위원장(국힘, 광주1)은, 지난 13일 열린 경기도장애인체육회 행정사무감사에서 경기도선수촌 건립 계획이 장애인체육회와 장애인선수들의 현실을 반영하지 못한 채 추진됐다며 집행부를 강하게 질타했다.

유영두 부위원장은 질의에서 “경기도장애인체육회 직장운동경기부는 제45회 전국장애인체전에서 5연패를 달성한 우수 조직임에도 불구하고, 경기도가 운영하는 합숙소와 훈련시설이 사실상 없다”고 설명하며 “확대 운영은커녕 기본적인 기반조차 갖추지 못한 것이 현장의 현실”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경기도는 경기도선수촌 건립을 통해 체육회와 장애인체육회의 이전, 합숙소 확충, 훈련시설 문제를 한 번에 해결할 수 있다고 주장해왔다”고 짚으며 “그러나 제출된 자료를 보면 장애인체육회 직원 중 단 4명만 선수촌 행정시설에 입주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문제 해결’이라는 도의 주장과는 전혀 맞지 않는다”고 강조했다.

경기도 체육진흥과 자료에 따르면 경기도선수촌은 우만테크노밸리 개발사업 부지에 총 125실의 합숙소, 276실의 행정시설, 종목별 10개 훈련장을 포함해 건립될 계획이다. 하지만 장애인체육회가 사용할 수 있는 행정시설 128실 중 4명만 입주 가능하고, 합숙소는 입소정원 36명의 44실로 직장운동경기부 정원 47명을 충족하지 못한다. 유 부위원장은 “이 정도 구성이라면 애초 장애인체육회 전체 이전은 가능하지 않은 계획”이라고 말했다.

또한 “장애인선수 지원을 강화해야 할 시기에 오히려 지원 기반이 축소되는 경기도정의 현 상황은 문제가 크다”고 지적하며 “실시설계 단계에서는 장애인체육회, 선수단과의 면밀한 소통을 통해 현장의 요구가 반영된 계획으로 수정되어야 한다”고 주문했다.

유영두 부위원장은 끝으로 “장애인체육 발전은 시설과 지원 체계의 안정성에서 출발한다”며 “경기도가 진정으로 장애인선수를 지원하려면 보여주기식 계획이 아닌 현실을 반영한 설계와 소통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경기도선수촌은 경기도 체육정책의 핵심 기반시설로 추진되는 대규모 사업이지만, 장애인체육회에 대한 지원 비율과 시설 배정이 충분하지 않다는 지적은 꾸준히 제기돼 왔다.

이번 감사에서 드러난 ‘입주 가능 인원 4명’이라는 수치는 현장의 체감도와 행정계획 간 간극을 다시 한번 확인시킨 사례다. 추진 과정에서 장애인체육 종사자들의 의견 수렴과 설계 반영이 강화될 필요성이 커졌으며, 향후 실시설계 단계에서의 수정 여부가 경기도 장애인체육 정책의 신뢰도를 좌우할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