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경자 의원이 '학생 자율권과 무상교복 정책의 재설계' 정책토론회를 개최했다.

[프레스큐=공경진 기자] 경기도 무상교복 제도의 미래를 두고 남양주에서 뜨거운 논의가 펼쳐졌다.
경기도의회 정경자 의원(국힘, 비례)이 좌장을 맡은 '학생 자율권과 무상교복 정책의 재설계' 정책토론회가, 지난 8일 구리남양주교육지원청에서 100여 명의 학부모와 교육 관계자가 참석한 가운데 성황리에 열렸다.

이번 토론회는 경기도교육청과 경기도의회가 공동 주최한 ‘2025 경기교육 정책토론회’의 일환으로, 무상교복 제도의 성과와 한계를 점검하고 학생 자율성과 선택권을 보장하는 새로운 정책 방향을 모색하기 위해 마련됐다. 특히 남양주를 포함한 현장의 목소리를 정책 설계에 반영하겠다는 취지에서 기획돼 실효성과 현장성이 강조됐다.

정경자 의원이 '학생 자율권과 무상교복 정책의 재설계' 정책토론회를 개최했다.

정경자 의원은 개회사에서 “학생들이 단순히 같은 옷을 입는 수준을 넘어 존중받는 존재로 성장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진정한 교육복지”라며 “남양주의 학생들이 자신의 삶을 선택하고 표현할 수 있는 권리를 위해 더 깊이 고민하겠다”고 밝혔다.

경기도교육청 복지협력과 최을근 학생복지담당 사무관은 주제발표를 통해 무상교복 제도의 운영 현황과 지난 5월 도내 학교에 안내한 ‘자율형 교복 5대 운영모델’을 소개하며, 교복 지원 방식이 점차 다양화되고 있음을 전했다.

이어진 지정토론에서는 제도의 방향성을 두고 다양한 제안이 나왔다. 이은주 경기도의원은 “교복은 공동체 의식과 교육 평등의 상징”이라며 서울·세종의 교복 쿠폰제 사례를 들어 경기도도 바우처 방식 전환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김규남 서울시의원은 “복지는 선택 가능해야 한다”며 서울시 입학준비금 제도와 교복 공론화 과정을 공유하고, 행정 효율성과 지역경제 활성화를 함께 도모할 수 있는 유연한 구조를 제시했다.

현장의 의견도 쏟아졌다.
이상엽 구리남양주교육지원청 지역교육과장은 “학생이 정책의 주체가 돼야 한다”고 강조하며 교복 디자인 개선, 학생 의견 반영, 교복은행 활성화 등을 제안했다.

이정연 경기도교육연구원 연구위원은 “수요자 중심 구매 시스템과 선택권 보장을 통해 공공성과 자율성의 균형을 맞춰야 한다”고 말했다.

김민정 판곡고등학교 운영위원장은 정장형 교복 중심의 지원제도 한계를 지적하며, 생활복·체육복 등 실용적인 품목 확대와 바우처 도입 필요성을 역설했다.

이날 행사에는 김진경 경기도의회 의장, 임태희 경기도교육감, 서은경 구리남양주교육지원청장이 축사를 통해 학생 자율권과 교육복지의 미래에 대한 기대를 전했다.

현장은 제도 개선을 향한 열띤 논의와 공감의 목소리로 가득했으며, 경기도 무상교복 제도가 ‘같은 옷’의 틀을 넘어 학생 선택권을 존중하는 방향으로 나아갈 가능성을 확인하는 자리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