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용성 의원, 아주대병원 권역외상센터 배설 케어 로봇 시연 참관
[프레스큐=공경진 기자] 경기도의회 김용성 의원(민주, 광명4)이, 지난 11일 아주대학교병원 별관 국제회의실에서 권역외상센터에 새롭게 도입된 ‘배설 케어 로봇’ 시연을 참관하고, 스마트 돌봄 로봇의 공공의료 확대 적용 방안을 논의했다.
이날 행사에는 정경원 아주대병원 권역외상센터장, 분당서울대병원 허윤정 교수, 배설 케어 로봇 전문기업 ㈜큐라코 관계자 등이 참석했다.
아주대학교의료원(원장 한상욱)은 산업통상자원부 산하 한국로봇산업진흥원의 ‘2025년 서비스로봇 실증사업’에 최종 선정돼 지난 6월부터 배설 케어 로봇 실증사업을 본격 추진하고 있다.
배설 케어 로봇은 자가 배변이 어려운 중증외상환자를 위해 설계된 장비로, 자동 배설 처리와 세정, 실시간 상태 모니터링을 지원한다. 이를 통해 피부염·요로감염 등 2차 감염을 예방하고, 간호 인력의 업무 부담을 줄이며, 환자의 위생과 안전 수준을 향상시킨다.
‘간호업무 효율성 향상’과 ‘환자 존엄성 회복’이라는 두 가지 목표 달성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김용성 의원, 아주대병원 권역외상센터 배설 케어 로봇 시연 참관
아주대병원 권역외상센터는 외상중환자실에 총 21대를 도입해 운영 중이며, 실증 과정에서 간호업무 경감, 피부질환·감염 발생률 감소, 의료폐기물 저감 효과 등을 기존 방식과 비교·분석할 예정이다. 이 결과는 향후 중증응급환자 치료 현장에서 스마트 돌봄 로봇 보급 확대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된다.
김용성 의원은 “배설 케어 로봇은 환자의 존엄한 돌봄을 실현하는 핵심 수단”이라며 “외상환자의 삶의 질 향상과 간호 인력 근무환경 개선에 중요한 계기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필수의료 공공성 확보를 위해 제도와 예산이 뒷받침돼야 하며, 의회 차원에서 도민이 체감할 수 있는 의료·돌봄 혁신을 적극 지원하겠다”고 덧붙였다.
중증외상환자의 생존율과 회복 과정에서 위생과 돌봄 환경은 결코 부차적인 요소가 아니다.
로봇 기술의 도입이 단순한 장비 확충이 아닌, 의료 현장의 패러다임 전환으로 이어질 수 있을지 주목된다.
경기도와 의회, 그리고 의료기관이 협력해 이러한 혁신을 제도화한다면, 공공의료의 질과 환자 존엄성은 한 단계 더 높아질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