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원특례시의회는 8월 15일 수원 제1야외음악당에서 열린 ‘제80주년 기념 수원시민 대합창’에 참석해 시민들과 함께 광복의 의미를 되새겼다.

[프레스큐=공경진 기자] 수원특례시의회(의장 이재식)는, 지난 15일 수원 제1야외음악당에서 열린 ‘광복 80주년 기념 수원시민 대합창’에 참석해 시민들과 함께 광복의 역사적 의미를 되새겼다.

이날 무대는 시민과 예술인이 어우러져 노래로 광복의 기쁨을 기리는 자리로 꾸며졌다.


행사는 1부 기념식과 2부 경축음악회로 나뉘어 진행됐다. 기념식에서는 독립군가 제창, 만세삼창 등 시민 참여 퍼포먼스가 이어졌고, 객석 곳곳에서 울려 퍼진 함성이 무대를 더욱 뜨겁게 만들었다. 이어진 음악회 무대에서는 수원시립예술단의 합창과 오케스트라 공연을 시작으로 장사익, 장윤정, 김동규 등 국내를 대표하는 예술가들이 참여해 시대별 음악을 선보이며 시민들과 함께 역사의 감동을 나눴다.

특히 이번 공연에는 시민합창단과 일반 시민 참여자도 함께 무대에 올라 의미를 더했다. 세대를 아우르는 목소리가 하나로 합쳐지며, 80년 전 되찾은 자유의 울림을 오늘날의 노래로 다시 이어가는 상징적인 장면이 연출됐다.

이재식 의장은 무대에서 “음악으로 지난 100년의 역사를 돌아보니 가슴이 뭉클하다”며 “끝없는 고난 속에서도 희망을 향해 걸어온 선조들이 있었기에 오늘 우리가 자유의 노래를 부를 수 있다”고 말했다. 이어 “이름 없이 헌신한 독립운동가들의 숭고한 정신을 가슴 깊이 새기고, 그 뜻이 미래 세대에 이어지도록 의회도 책임을 다하겠다”고 강조했다.

이번 행사는 광복의 의미를 단순히 추억하는 데 그치지 않고, ‘노래’라는 문화적 매개체를 통해 시민 참여를 확대했다는 점에서 특별한 의의를 가진다.

정치와 세대, 직업과 배경을 넘어선 수원의 대합창은, 광복이 단순히 과거의 사건이 아니라 현재와 미래를 연결하는 ‘살아 있는 역사’임을 보여줬다.

광복 80주년을 맞아 수원특례시의회가 시민과 함께 만든 울림은 지역을 넘어 대한민국 전역으로 확산될 가능성이 크다. 앞으로도 지방의회와 시민사회가 함께 역사를 기억하고 계승하는 문화적 장을 지속적으로 만들어낼 수 있을지 주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