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승원 광명시장이 6월 11일 오전 광명시청 중회의실에서 열린 ‘국민주권정부 국정과제 대응 전략 TF 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프레스큐 공경진 기자] 광명시가, 이재명 정부의 123대 국정과제에 발맞춰 시정 핵심정책과의 유기적 연계를 본격화한다.

박승원 광명시장은 “국민주권정부의 국정과제와 광명시가 추진해 온 자치분권, 기본사회, 탄소중립 정책은 같은 흐름 위에 있다”며 “정부 정책과 시정이 맞물려 시민이 체감할 변화를 만들겠다”고 강조했다.

광명시는 지난 14일 국정과제 대응을 위해 ‘국정과제 연계 실무추진단’을 구성하고 본격 운영에 들어갔다. 기존 ▲민생경제 ▲시민안전 ▲탄소중립 ▲기본사회 ▲자치분권 ▲사회적경제 ▲균형발전 ▲지역공약 등 8개 분과에 더해 ▲K-콘텐츠·아레나 ▲미래산업 유치 분과를 신설, 총 10개 분과 체계를 마련했다.

K-콘텐츠·아레나 분과는 광명시흥 3기 신도시에 대규모 문화복합공간을 조성해 한류 거점 도시로 도약을 꾀하며, 미래산업 유치 분과는 AI·미래모빌리티·친환경 제조 등 신산업을 안착시켜 새로운 일자리와 산업 생태계를 만드는 전략을 추진한다. 이와 함께 기본사회 분과는 시민원탁토론회를 통한 교통·주거·돌봄·의료 등 기본사회 과제 발굴, 자치분권 분과는 주민자치회 실질화와 동장공모제를 통한 시민 주권 확대를 구체화하고 있다.

광명시는 국정기획위원회 참여 전문가와 분야별 외부 자문단을 실무추진단에 포함시켜 정책 기획의 전문성을 강화했다. 단기·중장기 우선 과제를 오는 9월까지 확정한 뒤, 하반기 추경과 내년도 예산에 반영해 정부 재원·공모사업과 연계할 계획이다.

이번 실무추진단 운영은 단순히 정부 과제를 이행하는 차원을 넘어, 지방정부가 국정과제와 호흡을 맞추며 정책 자원을 끌어오는 구조를 제도화한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특히 광명형 자치분권, 기본사회, 탄소중립 같은 시정의 핵심정책들이 정부 의제와 일치한다는 점은 행정 효율성을 높이고 재원 확보에도 유리하게 작용할 전망이다.

다만 과제도 분명하다. 국정과제와 연계하는 과정에서 시정 고유의 정책 색깔이 희석되지 않고, 광명시만의 차별화된 비전이 유지될 수 있느냐가 관건이다. 동시에 대규모 사업의 경우 재원 마련과 실행력 확보가 뒷받침되지 않으면 시민 체감효과로 이어지기 어렵다.

박승원 시장이 강조한 “국민주권정부와의 정책 동행”이 구호에 머물지 않고, 광명시만의 정책 실험을 정부 정책과 접목해내는 실행력으로 이어질 수 있을지 주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