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윤경 부의장, ‘경기도 벼 대체작물 재배 활성화 지원 조례안’ 입법 공청회 개최

[프레스큐=공경진 기자] 경기도의회 정윤경 부의장(민주, 군포1)이 지난 26일 경기도의회 농정해양위원회 회의실에서 ‘경기도 벼 대체작물 재배 활성화 지원 조례안’ 입법 공청회를 열고 현장의 목소리를 청취했다.

이번 조례안은 벼 단일재배에 의존해온 농업 구조의 한계를 보완하고, 농민 수요에 맞는 대체작물 재배를 활성화해 식량 자급률을 높이기 위한 법적 기반 마련을 목적으로 추진됐다. 특히 지난 5월 열린 농정분야 릴레이 정책간담회에서 농민들이 제기한 ‘벼 외 작물 재배 확대 필요성’과 ‘작목전환·휴경 논 지원 요구’가 반영됐다.

정윤경 부의장은 인사말에서 “농업은 도민의 생명과 건강을 지키는 국가 안보 산업이지만, 벼 외 곡물의 자급률은 여전히 턱없이 낮은 수준”이라며 “기후 위기와 국제 곡물 시장 불확실성이 커지는 상황에서 대체작물 육성은 안정적 식량 공급을 위한 절실한 과제”라고 강조했다. 이어 “이번 조례는 농업인의 요구를 제도적으로 뒷받침하기 위한 제정 조례인 만큼 오늘 논의된 의견을 충실히 반영하겠다”고 밝혔다.

공청회에서는 현장의 현실적 어려움과 대안을 두루 짚었다.
정기화 한국후계농업경영인 경기도연합회 정책부회장은 “논콩이나 가루쌀은 소비와 보관 문제 등 한계가 있다”며 “다양한 작물 발굴과 소비 기반 마련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김진제 한국쌀전업농 파주시연합회 회장은 “재배 의지가 있어도 인력 부족과 판로 문제로 벼 외 작물 재배에 어려움이 많다”며 “안정적인 수익을 보장할 소비 대책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박순철 ㈜지푸라기 대표는 “가루쌀 재배가 일정 부분 쌀값 안정에 기여했다”며 “대체작물 가공부터 판로까지 이어지는 시스템과 사업 안정성이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이장희 한국농어민신문 기자는 “양평군 우리밀 사례처럼 계약재배와 제분공장, 대형 베이커리 연계 등 소비 시스템이 필요하다”며 “경기도 권역별 거점센터 구축도 검토해야 한다”고 제시했다.

마지막으로 정윤경 부의장은 “벼 대체작물 활성화는 식량 안보와 농가 소득, 나아가 농업의 지속 가능성을 위한 필수 과제”라며 “실효성 있는 조례 제정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거듭 밝혔다.

이날 공청회에는 정 부의장을 비롯해 농업인 단체, 민간기업 대표, 학계 전문가, 경기도청 관계자 등이 참석해 다양한 의견을 나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