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동연 경기도지사가 ‘2025년 하반기 경기살리기 통큰세일’ 개막식에서 인사말을 하고 있다.(사진=프레스큐)
[프레스큐=공경진 기자] 경기도가 지역경제 회복과 골목상권 활성화를 목표로 추진하는 ‘2025년 하반기 경기살리기 통큰세일’이, 22일 오전 의정부 행복로에서 개막했다. 올해 행사 예산은 120억 원 규모로, 지난해 40억 원에서 무려 3배 확대됐다.
경기도는 9일간 이어지는 이번 행사를 통해 소비 부담을 줄이고 지역 상권의 매출 회복을 지원한다는 계획이다. 통큰세일은 단순 할인 이벤트가 아닌 상권 회복을 위한 ‘민생경제 프로젝트’로 운영된다.
‘2025년 하반기 경기살리기 통큰세일’ 개막 퍼포먼스(사진=프레스큐)
김동연 경기도지사는 개막식에서 “올해 통큰세일 예산을 120억 규모로 대폭 늘렸다”며 “상인들은 3배 이상 기운을 얻고, 도민 장바구니는 3배 이상 넉넉해지도록 하겠다”고 강조했다. 이어 “통큰세일은 단순 행사 정도가 아니라 경기경제를 살리는 선순환의 마중물이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김동연 지사는 시장 상인들과의 특별한 인연도 언급했다. 그는 “아버지는 신당동 시장에서 장사를, 어머니는 성남 모란시장에서 좌판을 하셨다”며 “전통시장에 오면 늘 마음이 편하고 사람 사는 정을 느낀다”고 말했다. 개막식 이후 김동연 지사는 의정부제일시장에서 경기지역화폐로 장을 보며 상인들의 의견을 들었다.
올해 하반기 통큰세일의 가장 큰 변화는 지역화폐 자동 페이백 도입이다. 종이영수증을 들고 교환처를 찾아가야 했던 기존 방식에서 탈피해, 지역화폐로 2만 원 이상 결제 시 즉시 자동 환급되는 방식으로 전환됐다. 지원폭도 크게 늘어 ▲건당 최대 20% ▲하루 최대 3만 원 ▲행사 기간 최대 12만 원까지 페이백이 지급된다.
또한 참여 상권은 지난해 대비 크게 늘어난 429개 상권으로 확대됐다. 공공배달앱 ‘배달특급’ ‘땡겨요’ ‘먹깨비’에서도 2만 원 이상 주문 시 5천 원 할인 쿠폰이 제공돼 음식업 상권에도 활력을 불어넣을 전망이다.
김동연 지사가 경기지역화폐로 장보기를 하며 상인들과 대화하고 있다.(사진=프레스큐)
경기도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통큰세일에서도 참여 상권의 평균 매출이 전년 대비 1.6% 증가하는 성과가 확인된 만큼, 하반기 통큰세일의 경제 파급효과도 상당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날 개막식에는 김동연 지사를 비롯해 김동근 의정부시장, 김정영·이영봉·오석규 도의원, 김연균 의정부시의회 의장, 이충환 경기도상인연합회장 등 소상공인단체 관계자와 시민 200여 명이 참석했다.
지역경제 위축 우려가 이어지는 가운데, 이번 통큰세일은 민생경제 회복을 위한 실질적 대책으로 평가된다.
자동 페이백 시스템과 상권 확대 등 소비자·상인 모두가 체감할 수 있는 변화들이 적용된 만큼, 행사 성과가 향후 경기도의 지역경제 활성화 정책 전반에 중요한 기준점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