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양시청, 군포시청 전경

[프레스큐=공경진 기자] 안양시와 군포시가 범계역 인근 지역난방 열수송관 파열사고와 관련해 GS파워㈜와 긴급 합동 대책회의를 열고 복구 및 재발 방지 대책 마련에 나섰다.

두 도시는 지난 27일 오후, 안양시청 8층 재난안전상황실에서 열수송관 파손 원인과 향후 복구계획을 논의하기 위한 긴급 회의를 개최했다고 28일 밝혔다.

이번 사고는 GS파워㈜의 노후 열수송관이 파열되며 온수가 유출돼 일대에 수증기가 퍼진 것으로 확인됐다. 다행히 인명 피해는 없었으며, 사고 원인은 싱크홀이 아닌 배관 노후화로 잠정 파악됐다.

사고 여파로 안양지역 3,340세대와 업무시설 4개소, 군포 산본지역 4만8천 세대 및 업무시설의 열공급이 일시 중단됐다.

이에 GS파워㈜는 즉시 복구공사에 착수했다. 최길재 GS파워 지역난방기술처장은 “당초 복구에 약 3일이 소요될 것으로 예상했지만, 안양시와 군포시의 긴밀한 협조를 받아 복구 일정을 최대한 단축해 조기 온수 공급을 목표로 총력 복구 중”이라고 밝혔다.

이원우 GS파워 지역난방부문장은 “이번 사고로 불편을 겪은 시민들께 깊이 사과드린다”며, “노후 열수송관 전반에 대한 안전진단과 상시 점검을 강화하고, 이원화 공사 및 취약구간 개선사업을 선제적으로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GS파워㈜는 긴급 지원으로 군포지역 임대아파트 600세대에 전기매트를 우선 공급했으며, 열공급 중단 시간에 따른 난방요금 및 기본요금 감면 방안도 검토 중이다.

회의를 주재한 이계삼 안양시 부시장은 “이번 사고로 시민 불편이 크다”며 “모든 행정력을 동원해 복구에 최선을 다하고, 열수송관 이원화 공사 등 재발 방지 대책을 강력히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이번 사고는 수도권 전역에서 운영 중인 노후 열수송관 관리체계의 구조적 취약성을 다시 드러냈다. 특히 인구 밀집지역인 안양·군포 구간은 열수요가 높고 배관망이 복잡해 상시 점검체계 강화와 스마트 모니터링 도입이 시급하다.

두 도시의 신속한 공조는 초기 대응의 모범 사례로 평가받고 있으며, 앞으로는 단기 복구를 넘어 예방 중심의 도시 안전 인프라 전환이 핵심 과제로 남게 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