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도훈 의원이 '정조대왕능행차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 등재 전략 정책토론회' 좌장을 맡아 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프레스큐=공경진 기자] 경기도의회 문화체육관광위원회 김도훈 의원(국힘, 비례)이 좌장을 맡은「정조대왕능행차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 등재 전략 정책토론회」가 지난 27일 팔달구청 대회의실에서 성황리에 열렸다.
이번 토론회는 정조대왕능행차 공동재현의 유네스코 등재 가능성을 점검하고, ‘국가목록 미등재’ 등 제도적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법·제도 개선과 단계별 로드맵을 논의하는 자리였다.
허용호 한국민속학회 회장은 주제발표에서 “정조대왕능행차의 유네스코 등재는 국가목록 미등재, 종목 실체 혼선 등으로 단기간 추진이 어렵다”며, “정조대왕능행차 공동재현의 정체성을 명확히 규정하고 근거자료를 체계적으로 축적해 국제사회가 인정할 수 있는 공식화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다.
또한 그는 “근현대 무형유산을 제도권에 포함하도록 법·제도 개선이 필요하다”며, “기초지자체–광역–국가목록–유네스코로 이어지는 단계적 등재 로드맵 구축이 필수적”이라고 강조했다.
토론에 참여한 전문가들은 정조대왕능행차의 세계문화유산 등재를 위해서는 시민 참여 중심의 전승 구조와 제도적 기반 강화가 병행돼야 한다는 데 의견을 모았다.
최순종 경기대학교 교수는 “정조대왕능행차는 기록·유형·무형이 결합된 복합유산으로, 시민이 주체가 되는 세계적 전승 모델”이라 평가했으며, 안승우 성균관대학교 교수는 “정조의 애민정신과 개혁이념을 되살린 대한민국 대표 역사문화유산으로 유네스코 등재 가치가 충분하다”고 강조했다.
경기도 관계자들도 연구용역과 실증자료 확보를 통한 추진 기반 강화 방안을 공유했다.
박병우 과장은 “정조대왕능행차의 가치 분석과 등재 추진 로드맵을 연구 중이며, 대표목록 등재와 보호모범사례 등록을 병행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
김도훈 의원이 '정조대왕능행차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 등재 전략 정책토론회'에서 기념사진 촬영을 하고 있다.
좌장을 맡은 김도훈 의원은 “정조대왕능행차는 도민의 자부심이자 세계가 함께 공유할 소중한 문화자산”이라며, “이번 토론회를 계기로 경기도와 수원시, 화성시가 협력해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 등재를 위한 첫걸음을 내딛었다”고 말했다.
이어 김도훈 의원은 “유네스코 등재는 단기 성과가 아닌 장기적 문화생태 구축 과정으로 접근해야 한다”며, “도민과 함께하는 역사문화유산의 지속 가능한 전승을 위해 경기도의회가 제도적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밝혔다.
한편, 김도훈 의원은 오는 12월 ‘경기도 정조대왕능행차 지원에 관한 조례안’을 발의해, 지자체장의 교체 여부와 관계없이 행사가 안정적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제도적 기반을 마련할 계획이다.
정조대왕능행차는 단순한 지역축제를 넘어 역사·정신·시민참여가 결합된 복합문화유산이다. 이번 토론회는 ‘등재 추진’이라는 외형적 목표뿐 아니라 지속 가능한 전승 구조를 제도화하는 첫 단계라는 점에서 의미가 깊다.
향후 경기도의회가 중심이 되어 광역 차원의 협력체계를 구축한다면, ‘수원·화성·서울’을 잇는 K-문화 외교의 대표적 모델로 발전할 가능성이 높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