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충식 의원이 ‘2026년 AI국 예산안 업무보고 간담회’를 개최하고 관계자들과 소통을 하고 있다.(사진=프레스큐)
[프레스큐=공경진 기자] 경기도의회 미래과학협력위원회 윤충식 의원(국힘, 포천1)이, 지난 21일 ‘2026년 AI국 예산안 업무보고 간담회’에서 경기도가 추진 중인 자체 생성형 AI(Sovereign AI) 구축 사업의 핵심 예산이 대폭 삭감된 점을 강하게 지적하며, “무리한 확장보다 시스템 안정화가 우선”이라고 강조했다.
이번 간담회는 윤충식 의원실에서 비공개로 진행됐다. 윤충식 의원은 AI국이 당초 요청한 53억 원 중 인프라 확충 예산 23억 원만 반영된 점을 문제 삼았다. GPU 등 핵심 장비 확보가 어려워지면서 플랫폼 자체의 기반이 흔들릴 수 있다는 우려다.
윤충식 의원은 “핵심 예산이 절반 이상 삭감된 상태에서 사업을 강행하면 ‘반쪽짜리 AI’가 될 뿐”이라며 “초기 추진력을 잃지 않기 위해서라도 예산 확보 대책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경기도가 내년부터 AI 서비스 적용 범위를 도 본청에서 공공기관·시군까지 확대하려는 계획에 대해서도 속도 조절을 주문했다. 그는 “현재 시범 운영 중인 시스템조차 튜닝·오류 수정이 필요한 단계”라며 “데이터 안정성과 시스템 완성도가 검증된 이후 확장해도 늦지 않다”고 말했다.
이어 최근 사회문제로 떠오른 딥페이크 범죄 대응 예산 부재에 대해서도 강한 우려를 표했다. 윤충식 의원은 “딥페이크 성범죄 예방 조례까지 마련됐는데, 정작 예산이 반영되지 않았다”며 “도민 안전과 직결된 문제를 시범사업 수준에 묶어두어서는 안 된다”고 강조했다.
한편 육아 공무원 등을 위한 원격 근무 인프라(Virtual PC) 구축 사업에 대해서는 “업무 효율성과 복지 측면에서 필요성이 충분하다”며 긍정적 평가를 보였지만, “보안·운영 리스크를 사전에 충분히 검증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윤충식 의원은 “AI와 미래과학 분야는 경기도 경쟁력의 핵심”이라며 “예산 부족으로 인프라 사업이 좌초되지 않도록 의회 차원에서 끝까지 챙기겠다”고 밝혔다.
이번 간담회는 경기도가 추진하는 Sovereign AI 전략의 현실적 한계를 드러낸 자리였다. 윤충식 의원이 제기한 ‘확장보다 안정화’ 원칙과 딥페이크 대응 체계 구축은 향후 예산안 조정 과정에서 주요 논점이 될 전망이다.
경기도의 AI 정책이 단순 구호에 그치지 않고 실효성 있는 체계를 갖출 수 있을지 의회의 역할이 더욱 중요해질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