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회 경기도 응급의료지원 자문단 회의

[프레스큐=공경진 기자] 경기도가 응급의료 현장의 목소리를 제도 개선에 직접 반영하기 위해 응급의료지원 자문단을 출범시켰다.


새 정부의 국정과제인 ‘필수의료 확충’을 지방정부 차원에서 뒷받침하겠다는 의지다.

경기도는, 21일 도청에서 ‘제1회 경기도 응급의료지원 자문단 회의’를 열고, 중증응급환자 이송체계와 응급의료 권역 재정비 등 현안을 논의했다. 자문단은 도내 권역·지역응급의료센터 의료진과 학계, 응급의료 전문가 등으로 꾸려져, 현장의 경험과 전문성을 토대로 실질적인 대안을 제시하는 역할을 맡는다.

이날 회의에서는 ▲중증응급환자 이송지침 개선 ▲응급의료권역 재편 ▲지역응급의료센터 운영 방향 등이 집중적으로 다뤄졌다. 위원들은 응급환자가 지체 없이 적절한 치료를 받을 수 있도록 이송 체계를 재정비하고, 권역 간 의료격차 해소를 위한 응급 네트워크를 촘촘히 구축할 필요성을 강조했다.

경기도는 자문단에서 제시된 의견을 정책 설계와 실행 전반에 반영해 현장 중심의 응급의료 체계를 확립하겠다는 방침이다. 자문단은 정례적으로 운영되며, 단기 현안 대응뿐만 아니라 중장기적 제도 개선과 전략 수립에도 관여하게 된다.

유영철 경기도 보건건강국장은 “전문가 상시 자문체계를 마련한 것은 응급의료정책의 중요한 전환점”이라며 “국정과제와 발맞춰 도민이 체감할 수 있는 응급의료서비스 개선을 선도하겠다”고 밝혔다.

하지만 현장의 기대와는 달리, 자문단의 운영이 단순히 ‘회의체’에 머문다면 제 역할을 다하기 어렵다는 지적도 있다. 지금까지 수차례 논의된 중증환자 이송체계 개선은 여전히 현장에서 혼선을 빚고 있으며, 권역별 의료 불균형 문제도 해소되지 못했다.

경기도의 이번 시도가 선언적 의지를 넘어 실질적 성과로 이어질 수 있을지, 도민의 생명과 직결된 필수의료 확충의 성패가 시험대에 올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