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희원 의원이 제332회 임시회 교육위원회 업무보고에서 서울시교육청의 교육정책에 대해 문제를 제기하고 있다.
[프레스큐=공경진 기자] 서울특별시의회 교육위원회 이희원 의원(국힘, 동작4)이, 서울시교육청의 교육 정책에 대해 강하게 문제를 제기했다.
이희원 의원은 지난 1일부터 2일까지 이틀간 열린 제332회 임시회 교육위원회 업무보고에서 원자력 발전을 일절 다루지 않는 ‘생태전환교육’의 편향성과 고교학점제 운영 문제 등을 집중 질의했다.
이희원 의원은 “교육청이 배포한 14종의 생태전환교육 교재를 모두 살펴봐도 원자력 발전은 전혀 언급되지 않고, 오로지 신재생에너지만 탄소중립의 해법인 것처럼 서술돼 있다”며 “원자력 발전은 태양광보다 탄소 배출량이 적고 발전 효율도 뛰어난 국제적으로 인정받은 청정에너지”라고 지적했다. 이어 “육식을 죄악시하는 내용까지 포함된 교재는 학생들에게 왜곡된 가치관을 심을 우려가 있다”며 “이념 편향적 교육은 반드시 바로잡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한 고교학점제와 관련해 “수십만 원에서 수백만 원에 달하는 사설 컨설팅에 의존하는 것은 문제”라며 “이미 현장 교사들이 개정교육과정을 통해 충분한 노하우를 쌓아왔으므로, 교육청이 홍보와 역량 강화에 힘써 사교육 문제를 바로잡아야 한다”고 촉구했다. 아울러 공급 부족이 발생하고 있는 고교학점제 거점학교 문제도 지적하며 “현재 43개 학교에서 공동수강이 이뤄지고 있지만 18개 수업은 수요가 과잉돼 학생 선택권이 제약받고 있다”고 개선을 주문했다.
이 외에도 이희원 의원은 ▲수학여행·수련회 등 외부활동 확대를 위한 안전요원 확보 ▲학교폭력대책심의위원 평가 지표 도입 필요성 등을 제기하며 교육청의 실질적 대책 마련을 요구했다.
이희원 의원은 “서울시교육청 정책의 미비점을 점검하고 대안을 모색하는 것이 교육위원회의 역할”이라며 “앞으로도 서울 교육이 바른 방향으로 나아갈 수 있도록 파수꾼 역할을 충실히 하겠다”고 말했다.
이번 발언은 원자력 발전을 비롯한 에너지 교육의 균형성과 고교학점제 운영의 공정성을 동시에 짚으며, 서울시 교육 정책 전반에 대한 공론화를 촉발했다는 점에서 주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