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평군 공무원 고인의 자필 메모
(사진=김선교 국회의원 SNS)

[프레스큐=공경진 기자] 김건희 여사 관련 의혹을 수사하던 특검 조사를 받은 양평군청 공무원 A씨가 자택 화장실에서 숨진 채 발견됐다.

그는 특검 조사를 받은 지 불과 일주일 만이었다.

A씨가 남긴 자필 메모에는 “이 세상을 등지고 싶다”, “기억이 나지 않는 대답을 계속 강요받았다”,

“사실대로 말해도 거짓이라 한다”는 문장이 담겨 있었다.

이는 한 공직자가 조사 과정에서 느낀 압박과 절망을 보여주는 생생한 기록이다.

특검은 즉각 반박했다.

조사 일정표와 CCTV 영상을 공개하며 “강압은 없었다”고 밝혔다. 조사 중 식사와 휴식이 보장됐으며, 귀가 시에도 이상 징후는 없었다는 입장이다.

그러나 유족은 “조사 분위기가 강압적이었고, 모욕적인 언행이 있었다”며 정반대의 주장을 내놨다.

조사 경위와 심리 압박의 실체를 놓고 양측의 주장은 여전히 엇갈린다.

이번 사건은 ‘대통령이 임명한 독립특검’에서 벌어진 비극이다.

특검은 법적으로 대통령실의 지휘나 통제를 받지 않는 독립 수사기구이지만, 그 임명권이 대통령에게 있다는 점에서 도의적·정치적 책임은 피할 수 없다. 더구나 한 공직자의 극단적 선택이라는 중대한 사안임에도, 언론 보도상 대통령실의 공식 입장은 아직 확인되지 않고 있다.

정치권은 이미 공방에 나섰다.

국민의힘은 “무도한 특검 수사로 인한 인권 침해”를 주장했고, 더불어민주당은 “죽음을 정치적으로 이용하지 말라”고 반박했다. 그러나 국민이 듣고 싶은 것은 정치적 해명이나 공방이 아니다.

국가 권력 아래에서 한 공직자가 생을 마감했다면, 그 사실 앞에서 최소한의 유감과 책임을 표명하는 국가의 목소리가 먼저 나와야 한다.

대통령실은 수사 내용을 지휘할 수는 없지만, 국민의 신뢰를 지키는 정치적·도덕적 책임은 피할 수 없다. 침묵이 길어질수록 대통령실의 책임 회피라는 인식은 더욱 짙어진다.

지금 필요한 것은 해명보다 국가의 태도, 변명이 아닌 책임의 언어다.

진상 규명은 특검과 경찰의 몫이지만, 국민 앞에서 진심으로 사과하고 제도적 대책을 약속하는 것은 오롯이 대통령실의 역할이다.

죽음은 개인의 일이 아니라, 제도의 경고다. 이 경고 앞에서 국가가 침묵한다면, 국민은 그 침묵을 오래 기억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