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경자 의원이 경기도의회 제387회 정례회 보건복지위원회 예산심사에서 관련 안건을 심의를 하고 있다.(사진=프레스큐)
[프레스큐=공경진 기자] 경기도의회 정경자 의원(국힘, 비례)은, 제387회 정례회 보건복지위원회 예산심사에서 경기도 보건환경연구원이 제출한 시험검사정보시스템 기능개선 예산 1,880만 원을 두고 전액 삭감을 요구하며 연구원의 행정운영 전반에 대한 강한 문제 제기를 이어갔다.
정경자 의원은 이번 사안이 단순히 전산화 예산의 문제가 아니라 기본적인 행정관리 체계의 실패에서 비롯된 것이라고 지적했다.
정경자 의원은 사업설명서에 기재된 “수기관리로 인한 누락과 오류, 중복 발생”이라는 문구를 언급하며 보건환경연구원이 2026년 현재에도 시약, 초자, 실험 장비 등을 수기로 관리하고 있었다는 사실이 그 자체로 충격적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연구원 측이 스스로도 비효율과 오류 가능성을 이미 인지하고 있었음에도 이 같은 체계를 방치해 왔다는 점은 심각한 관리 부재라고 지적했다.
정경자 의원은 식품의약품안전처가 이미 2017년 이전 통합 실험실 정보관리시스템인 LIMS에 시약과 초자 관리 모듈을 탑재했고 2018년부터는 전국 소속기관 사용을 의무화한 사실을 설명하며 보건환경연구원이 이를 알고도 도입하지 않은 것은 직무태만이라고 주장했다.
정경자 의원은 연구원의 2026년 예산이 48억 원 규모에 이르는 만큼 이 정도 규모의 실험 자산을 수기 방식으로 관리하는 것은 불가능에 가까운 일이라며 관리체계의 후진성을 강하게 비판했다.
정경자 의원은 연구원이 주장하는 이번 예산 편성의 명분인 전산화 필요성에 대해서도 반박했다. 그는 전산화가 필요한 것이 아니라 전산화를 너무 늦게 도입한 것이 문제라고 지적하며 국가 실험실 운영 표준체계가 이미 존재하는데도 경기도만 뒤늦게 독자 시스템을 구축하려는 것은 행정 난맥의 전형이라고 지적했다. 또한 10년 가까이 전산 도입을 방치한 뒤 이제 와서 수기 방식의 비효율을 이유로 예산을 요청하는 것은 책임 회피에 불과하다고 비판했다.
정경자 의원은 이번 예산 1,880만 원으로 문제를 덮을 수 있는 사안이 아니라고 강조하며 보건환경연구원이 행정운영의 기본부터 전면적으로 점검해야 한다고 강하게 주문했다.
그는 실험실의 신뢰성과 정확성, 나아가 도민 안전을 책임지는 기관이 가장 기초적인 관리체계를 갖추지 못한 것은 심각한 문제라며 향후 예산과 행정 시스템 전반에 대한 면밀한 점검을 예고했다.
이번 지적은 보건환경연구원의 내부 행정 체계가 시대에 뒤처진 방식에 머무르고 있다는 점을 적시한 것으로, 향후 예산심사와 기관 운영 전반에 상당한 파장이 예상된다.
경기도 연구 인프라의 신뢰성과 전문성을 확보하기 위한 대대적 개선 요구가 한층 더 커질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