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윤경 부의장이 ‘군포시 사회복지 종사자 처우개선 토론회’에 참석해 축사를 하고 있다.

[프레스큐=공경진 기자] 경기도의회 정윤경 부의장(민주, 군포1)은, 지난 17일 군포시문화예술회관에서 열린 ‘군포시 사회복지 종사자 처우개선 토론회’에 참석해 사회복지 현장의 목소리를 경청하고, 현장 중심의 정책 지원 의지를 밝혔다.

정윤경 부의장은 “2년 전 학교사회복지사 제도가 존폐 위기를 맞았을 때, 도정질의와 조례 제정, 예산 지원을 통해 그들의 일터를 지켜냈던 기억이 있다”며 “또한 지역아동센터 종사자들의 호봉제 도입을 추진하며 정규화된 보상체계의 필요성을 실감했다”고 밝혔다.

이어 “사회복지 종사자 여러분의 헌신이 군포 복지를 실질적으로 움직이는 힘이며, 지역 공동체를 단단히 지탱하는 근간”이라며 “이 헌신이 단순한 사명감으로 머물지 않고 ‘존중받는 노동’으로 자리 잡을 수 있도록 함께하겠다”고 말했다.

정윤경 부의장은 특히 “복지의 지속가능성을 위해서는 종사자들의 근무 여건이 안정되어야 하며, 그 헌신이 정당하게 평가받고 보상받는 제도적 장치가 필수적”이라며, “도의회는 현장의 목소리를 제도화하기 위한 조례 개정과 예산 확보에 지속적으로 노력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또한 “지방정부 차원의 예산과 인력 지원이 안정적으로 확보되어야 복지정책이 현장에서 실효성을 가질 수 있다”며 “도의회는 집행부와의 협력 속에서 복지 종사자의 권익이 실질적으로 보호받을 수 있도록 제도적 보완에 나서겠다”고 밝혔다.

정윤경 부의장은 끝으로 “오늘 토론회에서 나온 제안과 의견들이 군포시와 경기도 정책 현장에 반영되어, 더 나은 복지 환경으로 이어지길 바란다”며 “현장에서 고군분투하는 사회복지 종사자들이야말로 군포의 희망이며, 더불어 사는 공동체의 미래”라고 격려의 메시지를 전했다.

이번 토론회는 군포시사회복지사협회와 군포시사회복지협의회 공동 주관으로 열렸으며, 사회복지 종사자의 처우 개선과 근무환경 개선 방안, 지역 복지정책의 발전 방향을 모색하는 자리가 됐다.

정윤경 부의장은 의정 전반에서 ‘복지의 현장화’를 강조해왔다. 학교사회복지사 제도, 아동복지시설 종사자 호봉제, 아이돌봄 종사자 조례 등은 모두 현장의 필요를 반영한 입법 성과다.

이번 토론회 또한 복지를 제도적 지원의 차원을 넘어, ‘사람 중심의 지속가능한 복지 생태계’로 확장하겠다는 의지를 확인한 자리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