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동연 경기도지사가 경기도서관 개관식에서 축사를 하고 있다.

[프레스큐=공경진 기자] 경기도의 새로운 랜드마크 경기도서관이, 25일 수원시 영통구에서 개관식을 열고 공식 운영을 시작했다.

이번 행사는 ‘사람과 책, 그 사이 경기도서관’을 슬로건으로 내걸고, 도민과 함께 만드는 첫 만남의 축제 형식으로 진행됐다.

김동연 경기도지사는 개관식에서 “도지사로서 수많은 준공식에 참여했지만 오늘처럼 벅찬 적은 없었다”며 “도서관은 제게 매우 특별한 의미를 갖는다”고 소회를 밝혔다.

그는 이어 “그저 건물을 크게 짓고 책만 잔뜩 채워 넣는 도서관을 만들고 싶지 않았다”며 “세상에 하나밖에 없는, 대한민국 최고의 도서관을 만들자고 이야기했다. 오늘은 점 하나를 찍은 날이고, 앞으로 선을 잇고 면을 채우는 과정이 시작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김동연 경기도지사가 경기도서관 개관식에서 기념사진 촬영을 하고 있다.

김동연 지사는 또한 “경기도서관이 대한민국에서 유일한 도서관을 넘어 사람들을 연결하는 장이 되길 바란다”며 “경기도가 추진 중인 천권 독서 프로젝트와 연계해 도서관을 중심으로 다양한 독서·문화 프로그램을 확대하겠다”고 밝혔다.

이번 개관식은 전통적인 테이프 커팅이나 축사 위주의 형식을 벗어나 ▲브랜드텔링 퍼포먼스 ▲도민과 함께하는 ‘키워드 토크’ ▲합창과 독서 다짐 퍼포먼스 등 시민이 직접 참여하는 축제형 행사로 꾸려졌다.

경기도서관은 ‘기후·환경’, ‘AI’, ‘사람 중심’이라는 세 가지 키워드를 담아 운영된다. 버려진 자원을 활용해 조형물과 가구를 제작하고, 태양광과 지열에너지를 통해 일부 전력을 자급하며 지속가능한 공간으로 설계됐다. 또한 ‘AI 스튜디오’, ‘AI 독서토론’ 등 첨단 기술을 활용한 실험적 서비스를 제공해 도민 누구나 머물며 배우고 연결될 수 있는 열린 문화공간을 목표로 한다.

이번 경기도서관 개관은 단순한 공공도서관의 출범이 아니라, ‘사람 중심의 지식 플랫폼’이라는 새로운 개념의 문화 인프라를 제시한 사건이다.

김동연 지사가 강조한 “사람을 연결하는 도서관”은 행정이 아닌 도민 참여형 문화정책의 상징으로, 향후 경기도의 공공문화 모델이 어떻게 진화할지를 보여주는 분기점이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