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상욱 의원이 제333회 정례회 행정사무감사에서 디자인정책관과 서울디자인재단을 상대로 질의를 하고 있다.

[프레스큐=공경진 기자] 서울디자인재단이 설립 취지와 동떨어진 운영 행태로 서울특별시의회 행정사무감사에서 강한 질타를 받았다.

서울특별시의회 도시계획균형위원회 이상욱 의원(국힘, 비례)은 지난 10일 열린 제333회 정례회 행정사무감사에서 디자인정책관과 서울디자인재단을 상대로 “디자인 전문기관이 자원순환 사업인 새활용플라자 운영에 매몰되어 본연의 역할을 망각했다”고 지적했다.

이상욱 의원은 “시민 세금으로 운영되는 기관이 본래 설립 목적에서 이탈해 전문성도 없는 외부 시설에 행정력을 쏟고 있다”며, “서울디자인재단은 즉시 새활용플라자 위탁운영에서 손을 떼고, 디자인 진흥이라는 본업으로 돌아와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한 DDP(동대문디자인플라자) 내 핵심 공간을 서울산업진흥원(SBA)에 임대한 점도 문제로 꼬집었다.

그는 “DDP는 서울디자인재단의 자산이자 정체성의 중심인데, 이를 SBA에 내주고 수익사업에만 몰두하는 것은 본질을 훼손하는 행위”라며 “DDP의 주도권을 되찾고 신진 디자이너 육성과 콘텐츠 기획 중심의 공간으로 재편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상욱 의원은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이 수행 중인 ‘제7차 서울경관기록화 사업’의 계약관리 부실 문제도 함께 지적했다.

그는 “시립대가 본 계약 과업 일부를 외부 업체에 수의계약 형태로 재발주했는데, 서울시는 이를 구두 승인했다고 답했다”며 “수억 원 규모의 공공용역을 문서도 없이 구두로 승인했다는 건 지방계약법의 기본조차 무시한 행정 태도”라고 비판했다.

이상욱 의원은 “서울디자인재단은 본업을 잃고 행정력이 분산된 상태이며, 서울시는 하도급 승인조차 관리하지 못하고 있다”며 “지금 필요한 건 조직의 본질에 맞는 선택과 집중, 그리고 행정 절차의 철저한 준수”라고 강조했다.

이상욱 의원의 이날 발언은 서울시 산하 기관들의 정체성 회복과 행정 기본 원칙 준수를 촉구한 것으로, DDP의 운영 주체와 서울디자인재단의 미래 방향성 논의에 중요한 변곡점이 될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