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레스큐=공경진 기자] 최근 5년간 소나무재선충병 피해가 전국적으로 413만 그루를 넘어선 가운데, 경북에서만 전체의 절반 가까운 186만 그루가 감염된 것으로 확인됐다. 피해 지역은 해마다 늘어나고 있으며, 상당수가 인위적 확산에 의한 것으로 나타나 관리 강화가 요구되고 있다.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김선교 국회의원(국힘, 경기 여주시‧양평군)이 산림청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소나무재선충병 피해목은 2021년 30만 7,919그루에서 2023년 106만 5,967그루로 급증했다. 2024년에는 89만 9,017그루로 잠시 줄었으나, 올해 다시 148만 6,338그루로 늘면서 5년간 총 413만 7,320그루가 피해를 입었다.
지역별로는 경북이 186만 5,147그루(45.1%)로 피해가 가장 컸고, 이어 경남 89만 8,168그루(21.7%), 울산 35만 4,924그루(8.6%), 산림청 국유림 31만 7,524그루(7.7%), 대구 18만 6,733그루(4.5%), 경기 14만 3,845그루(3.5%), 제주 13만 6,061그루(3.3%) 순으로 집계됐다.
최근 5년간 소나무재선충병 피해 시·군·구 현황
피해 지역 수도 증가 추세다. 소나무재선충병이 발생한 시‧군‧구는 2021년 131곳에서 올해 154곳으로 확대됐으며, 올해 처음으로 피해가 ‘극심’ 단계에 이른 지역이 6곳 확인됐다. 울산 울주군, 경북 포항‧경주‧안동, 경남 밀양‧창녕이 해당된다. 또 대구 달성군, 울산 북구, 경기 양평군, 경북 구미시 등 4곳은 ‘심’ 지역으로 분류됐다.
특히 최근 5년간 신규·재발생한 시‧군 30곳 중 22곳은 인위적 확산에 따른 피해로 조사됐다. 국립산림과학원은 땔감이나 목재 유통 과정에서 감염목이 유입되는 사례가 많다고 설명했다. 실제로 경북 울진군은 땔감에서 매개충 흔적이 다수 확인됐고, 전북 무주군과 전남 완도군도 감염목 유입으로 피해가 확산된 것으로 파악됐다.
최근 5년간 소나무재선충병 예방을 위한 확산 조사 사례
김선교 의원은 “최근 5년간 소나무재선충병 방제를 위해 4천억 원 가까운 예산을 투입했지만 피해는 오히려 늘고 있어 매우 안타깝다”며, “특히 부주의로 인한 인위적 확산은 반드시 차단해야 한다. 정부는 특별 단속을 강화해 우리의 소중한 산림이 훼손·파괴되지 않도록 철저히 관리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소나무재선충병은 확산 속도가 빠르고 방제가 쉽지 않아, 정부와 지자체가 합동으로 관리 체계를 정비하고 화목·목재 유통 단속을 강화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피해가 누적될 경우 산림 생태계의 회복력에도 치명적 영향을 줄 수 있어, 실질적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