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양주시의회가「남양주시 청소년 정책 연구」
용역 최종보고회를 개최했다.
[프레스큐=공경진 기자] 남양주시의회(의장 조성대)가 지난 29일 소회의실에서 「남양주시 청소년 정책 연구」 용역 최종보고회를 열고, 청소년 정책 보완 방향과 신규 사업 발굴을 논의했다.
이번 연구는 청소년을 둘러싼 정책환경을 분석하고, 시 차원의 실효성 있는 정책 수립을 목표로 추진됐다. 보고회에는 대표의원인 전혜연 의원(국힘, 비례)을 비롯해 연구단체 소속 의원, 용역 수행기관 연구진, 시 관계 공무원들이 참석했다.
한국공공정책연구원 책임연구원은 PEST(정치·경제·사회·기술) 및 SWOT 분석을 통해 △청소년 시설·공간 확충 △참여 경로와 정보 접근성 강화 △문화·여가·진로 활동 다양화 △생활안전 및 심리상담 지원 등의 정책 수요를 도출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진행된 FGI(Focus Group Interview) 결과를 바탕으로 △신규 청소년 시설 건립 △시설 접근성 개선 패키지 △생활권 분산형 청소년 거점망 구축 △기업 연계 메이커스페이스 운영 △학교·주민센터 유휴공간 공유 플랫폼 개설 등을 최종 과제로 제시했다.
연구모임 의원들은 권역별 여건과 예산 현실을 충분히 반영하기에는 용역기간이 짧았다는 점을 지적하면서도, 제안된 과제들이 향후 정책 수립의 기반이 될 수 있다는 점에 의미를 부여했다.
전혜연 의원은 “이번 연구를 통해 청소년 정책의 현황과 과제를 다시 확인할 수 있었다”며 “생활권 기반 거점 확충, 온라인 참여 채널 강화, 진로·문화 활동 확대, 생활안전과 심리상담 지원 보강 등이 핵심 과제로 떠올랐다”고 말했다. 이어 “오늘 논의된 내용은 시정연구원과 공유하고, 집행부가 시정에 접목 가능한 사업을 충분히 검토해주길 바란다”고 당부했다.
남양주시의회가 추진한 이번 연구는 단순히 청소년 시설 확충에 그치지 않고, 생활권 기반 정책과 디지털 시대에 맞는 참여 채널 강화까지 포괄하고 있다는 점에서 주목된다. 다만 예산과 행정 현실과의 정합성을 어떻게 확보할지가 관건이다.
청소년 정책이 선언적 구호에 그치지 않고 현장에서 체감되는 변화를 만들어낼 수 있을지, 향후 집행부의 실행력이 시험대에 오르게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