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충식 도의원(中)이 9월 3일 경기도의회 포천상담소에서 전국양로시설총연합회 인승천 회장(오른쪽), 경기양로시설협회 성정희 회장(왼쪽)과 양로시설 운영난 및 지원 축소 문제에 대해 의견을 나누고 있다.

[프레스큐=공경진 기자] 경기도 의회 윤충식 의원(국힘, 포천1)이 지난 3일 경기도의회 포천상담소에서 잇따라 두 건의 간담회를 열고 현장의 목소리를 청취했다.

이날 간담회에서는 노인복지와 첨단산업 육성이라는 상반된 주제를 놓고도 공통적으로 ‘현장의 어려움과 불균형’을 해소해야 한다는 과제가 드러났다.

첫 번째 만남은 전국양로시설총연합회 인승천 회장과 경기양로시설협회 성정희 회장과 함께 진행됐다. 최근 정부 정책 기조 속에 양로시설이 급격히 줄고 있는데다, 경기도와 시·군의 보조금 지원이 85% 이상 삭감된 상황이 운영난을 가중시키고 있다는 호소가 나왔다.

윤충식 의원은 “어르신 돌봄 체계가 흔들리지 않도록 담당 부서와 협의해 제도적 개선 방안을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윤충식 도의원이 9월 3일 경기도의회 포천상담소에서 대진테크노파크 관계자들과 제조로봇 이니셔티브 사업 추진 현황과 경기남·북부 기업 간 지원 격차 문제에 대해 의견을 나누고 있다.

이어 열린 대진테크노파크 관계자와의 간담회에서는 경기도가 추진 중인 ‘제조로봇 이니셔티브 사업’을 둘러싸고 남부와 북부 기업 간 선정 비율 격차가 심각하다는 문제점이 제기됐다.

윤충식 의원은 “경기북부 기업도 공정하게 기회를 얻을 수 있어야 한다”며 “제도적 보완과 지원 방안을 통해 지역 간 균형을 이루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이번 간담회는 단순한 민원 청취 차원을 넘어, 경기도 복지정책과 산업정책의 구조적 문제를 짚어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노인복지의 경우, 요양병원 중심으로 정책이 기울어지는 사이 양로시설은 존립 기반이 흔들리고 있다.

고령화 사회에서 장기 요양 서비스와 더불어 생활 돌봄형 시설의 필요성이 여전하다는 점을 감안하면, 지원 축소는 사회 안전망을 약화시킬 수 있다. 윤충식 의원이 제도 개선을 거론한 것도 이러한 위험성을 인식한 결과다.

산업 분야에서도 경기남부와 북부의 격차는 오랜 숙제로 남아 있다. 첨단 제조업과 연구개발 인프라가 집중된 남부에 비해 북부는 상대적으로 소외돼 왔다.

제조로봇 이니셔티브 같은 신성장 사업에서조차 지역 편중이 반복된다면 균형발전은 구호에 그칠 수밖에 없다.

윤충식 의원이 북부 기업의 공정한 기회 보장을 강조한 것은 단순히 기업 지원의 문제가 아니라, 지역 전체의 산업생태계를 유지하기 위한 전략적 선택으로 읽힌다.

향후 이번 논의가 경기도 차원의 제도 개선이나 지원 기준 재검토로 이어질 가능성도 있다.

현장의 문제 제기가 누적될수록, 도의회 차원에서 조례 정비나 지원 구조 개선 논의가 본격화될 수 있다는 전망도 조심스럽게 나온다.

윤충식 의원의 행보는 이러한 논의의 불씨를 살리는 계기가 될 것으로 평가된다.

윤충식 의원은 두 차례의 간담회를 마치며 “복지와 산업 모두에서 공정한 기회와 안정적 운영 기반이 마련돼야 한다”며 “도의회 차원에서 현장 문제 해결과 정책 개선에 앞장서겠다”고 말했다.

이번 만남은 포천과 경기북부 현안 해결을 위한 윤충식 의원의 적극적인 행보로 기록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