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경자 의원(앞줄 左 첫번째)이 ‘경기 동북부 공공병원 설립 타당성 및 민간투자 적격성 조사’ 중간보고회에 참석해 기념사진 촬영을 하고 있다.
[프레스큐=공경진 기자] 경기도의회 정경자 의원(국힘, 비례)이, 지난 18일 의회에서 열린 ‘경기 동북부 공공병원 설립 타당성 및 민간투자 적격성 조사’ 중간보고회에서 “남양주 공공의료원은 단순한 신축이 아니라 경기도 전체 공공의료 체계를 다시 설계하는 수준으로 접근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정경자 의원은 남양주·구리·가평 등 동북부 지역의 열악한 의료 접근성을 지적하며 “남양주권은 환자 3분의 2가 타 지역 병원을 이용할 정도로 취약하다. 입원환자 자체충족률이 구리 41퍼센트, 가평 9퍼센트까지 떨어지는 현실에서 공공병원 설립은 더 이상 선택이 아니라 필수”라고 밝혔다.
이어 공공병원의 방향성에 대해서는 기존의 병상 확충 방식이 아닌 ▲디지털 기반 진료·운영 시스템 ▲환자경험 중심 의료서비스 ▲지역 생활권 중심의 의료·돌봄 연계를 갖춘 ‘미래형 공공병원 모델’로 전환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최근 논의되는 ‘예타 면제’에 대해 정경자 의원은 “예타 면제가 목표가 되어서는 안 된다. 예타를 당당히 통과할 만큼 사업성과 공공성, 필요성을 명확히 증명하는 과정이 선행돼야 한다”며 “그 기반이 탄탄해지면 면제 가능성도 자연스럽게 커진다”고 말했다.
정경자 의원은 공공병원 운영의 지속가능성을 위해 “보건소, 복지관, 방문건강관리, 민간병원, 지역거점병원까지 하나의 통합 의료·돌봄 생태계를 구축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특히 “이천병원이 흑자를 내는 핵심은 분당서울대병원과의 견고한 네트워크 때문”이라며 “양주·남양주 공공병원 역시 지역 대학병원 및 민간의료기관과 연계 전략을 구축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정경자 의원은 “도의회 보건복지위원회 차원에서 기능설계, 재정추계, 인력 확보, 네트워크 전략까지 면밀히 점검하겠다”며 “동북부 공공병원이 단순 확충 사업으로 머물지 않고 경기도형 공공의료 혁신의 출발점이 되도록 챙기겠다”고 밝혔다.
경기도는 오는 2026년 2월 사전예비타당성조사를 마무리하고, 2027년 12월 공공병원 BTL사업 신청 및 국회 의결을 목표로 추진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