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길수 의원이 용인특례시의회 자치행정위원회 2025년도 행정사무감사에서 질의를 하고 있다.

[프레스큐=공경진 기자] 용인특례시의회 김길수 의원(국힘, 마선거구)은, 지난 18일 용인특례시의회에서 열린 자치행정위원회 2025년도 행정사무감사 2일차에서 고향사랑기부금을 활용한 해외봉사활동 사업의 실효성을 강하게 문제 제기하며, “시민이 체감하지 못하는 기부금 사업은 처음부터 구조와 목적을 다시 정립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길수 의원은 “고향사랑기부금은 지역 발전과 복지 증진이라는 명확한 목적을 위해 쓰여야 한다”며 “해외봉사활동이 용인시민에게 어떤 형태로 환류되고, 기부자의 의도와 어떻게 연결되는지부터 점검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특히 성과지표가 명확하지 않은 채 예산이 투입되는 구조는 공감대 확보가 어렵다며, 실효성을 기준으로 사업 전반을 재설계할 필요성을 제기했다.

이어 김길수 의원은 개방형 직위 운영도 심층 점검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경쟁과 투명성을 바탕으로 전문성을 확보하기 위해 도입된 제도임에도, 운영 방식에 따라 ‘편법 승진 통로’라는 오해가 발생할 수 있다며 절차와 심의기준을 한층 강화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그는 “조직 운영의 신뢰는 인사 체계에서 시작된다”며 “개방형 직위가 제도 취지대로 작동해야 조직 효율도 높아진다”고 말했다.

이날 행정사무감사에서는 기록물 관리, 마을공동체 운영 체계, 기간제 채용 기준, 저연차 공무원 조직 적응, 공적심사 운영 등 다양한 사안이 다뤄졌다. 그러나 김길수 의원의 발언은 재정·인사라는 행정의 핵심 축을 짚으며 ‘제도의 목적과 실제 운영 간 일치 여부’를 중점에 둔 점에서 위원회 내에서도 존재감이 두드러졌다는 평가다.

김길수 의원은 그동안 지역 현안과 예산 흐름을 실질적으로 검증해온 실무형 행보로 주목받아 왔다.

이번 행감에서 제기한 문제들은 내년도 예산 편성, 고향사랑기부금 사업 구조조정, 인사 운영 기준 재정립 등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아, 향후 용인특례시 행정 체계 전반의 변화에 적지 않은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용인특례시가 인구 113만 도시로 성장하는 상황에서 재정 신뢰도와 인사 투명성은 대도시 행정의 기반이며, 김길수 의원이 강조한 두 축은 결국 시민 신뢰 회복과 행정 완성도로 직결되는 사안이다.

이번 지적이 단순한 지양·권고를 넘어 실질적 개선으로 이어질 경우, 김길수 의원의 정책적 행보는 내년도 용인특례시 행정 운영의 중요한 기준점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