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영두 의원이 광주시립중앙도서관 시청각실에서 ‘경기도 무형유산 전승과 기억의 날 지정’을 주제로 한 2025 경기도 정책토론회를 주재했다.
[프레스큐=공경진 기자] 경기도의회 유영두 문화체육관광위원회 부위원장(국힘, 광주1)은, 지난 19일 광주시립중앙도서관 시청각실에서 ‘경기도 무형유산 전승과 기억의 날 지정’을 주제로 한 2025 경기도 정책토론회를 주재하며, 경기도 무형유산 정책의 새로운 전기를 예고했다.
이번 토론회는 경기도가 K-콘텐츠 중심지역으로 부상하는 가운데, 그 근간이 되는 무형유산을 어떻게 전승·보호할 것인지 공론화하기 위해 마련됐다.
유영두 부위원장은 “그동안 무형유산을 너무 당연하게 여기며 체계적인 지원을 하지 못했던 것이 사실”이라며, 전통문화와 K-콘텐츠가 결합해 세계 시장에서 성과를 내고 있는 지금이야말로 전승자와 보유자를 위한 실질적 지원체계를 준비해야 할 시점이라고 강조했다.
이날 토론회는 김헌선 경기대학교 교수의 주제발표를 시작으로 강환구 경기무형유산총연합회 이사장, 류재구 고문, 양한 경기고깔소고춤 이수자, 박병우 경기도 문화유산과장이 참여해 정책 현황과 개선 방향을 폭넓게 논의했다. 참석한 수십 명의 무형유산 보유자와 이수자들은 현장에서 느껴온 어려움, 홍보 부족, 전승 인력 양성 문제 등을 직접 제기하며 적극적으로 의견을 보탰다.
특히 현장에서는 경기도의 무형유산 지원 구조가 아직 제도적 체계나 홍보 기반이 충분하지 않다는 지적이 반복적으로 제기됐다. 보유자·이수자들은 지속 가능한 전승 활동을 위해 필요한 예산·제도·인력 지원의 필요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했고, 개선해야 할 정책 방향에 대한 다양한 제안도 이어졌다.
유영두 부위원장은 이번 토론회 결과를 토대로 ‘경기도 무형유산 전승과 기억의 날 지정을 위한 조례안(가칭)’을 올해 안에 발의하겠다고 공식적으로 밝혔다. 또한 “오늘 제안된 의견들이 2026년도 예산에 반영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며 실질적인 정책 전환 의지를 확인했다.
그는 “무형유산은 단순히 보존해야 할 옛 문화가 아니라, 우리가 미래 세대에게 물려줘야 할 가장 소중한 문화 자산”이라며 “경기도가 세계적인 무형유산 확산의 중심지로 자리 잡을 수 있도록 체계적이고 지속 가능한 정책 기반을 만들겠다”고 밝혔다.
이번 토론회를 계기로 경기도의 무형유산 정책이 선언적 수준을 넘어서 실효성을 갖춘 종합 정책으로 전환될 수 있을지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조례 제정과 기념일 지정이 현실화될 경우, 경기도 무형유산 진흥정책은 새로운 국면을 맞게 될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