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경자 의원이 ‘급식관리지원센터의 지난 10년, 앞으로의 10년’을 주제로 2025 입법정책토론회를 주재하고 있다.

[프레스큐=공경진 기자] 경기도의회 보건복지위원회 정경자 의원(국힘, 비례)이 지난 4일 경기도의회 소회의실에서 ‘급식관리지원센터의 지난 10년, 앞으로의 10년’을 주제로 입법정책토론회를 주관·주최했다.

이날 현장에는 도내 31개 시·군 급식관리지원센터 관계자와 현장 종사자 등 250여 명이 참석해 회의장을 가득 메웠으며, 센터의 지난 10년의 성과와 향후 과제를 두고 뜨거운 논의가 이어졌다.

정경자 의원은 “지난 3월 실무자협의회와의 정담회에서 ‘도의원을 직접 만난 게 처음’이라는 말을 들었다”며 “행정의 손길이 닿지 못한 현장이 많다는 사실을 절감했고, 오늘의 토론회는 그 문제의식에서 출발했다”고 밝혔다.

정경자 의원은 급식관리지원센터가 사회적 약자를 위한 식생활 안전망으로 자리 잡았음에도, 여전히 처우와 지원이 충분하지 않다고 지적했다.

그는 “경기도의 운영비 부담은 10%에 불과하고, 2026년 예산이 삭감된다면 공공급식의 지속가능성이 흔들릴 수 있다”며 “처우개선, 운영 안정성, 재정구조 개선, 공공성 강화가 향후 핵심 과제”라고 강조했다.

정경자 의원이 ‘급식관리지원센터의 지난 10년, 앞으로의 10년’을 주제로 2025 입법정책토론회를 주최·주관하고 기념사진 촬영을 하고 있다.

또한 정경자 의원은 “오늘 토론회가 급식관리지원센터의 ‘두 번째 10년’을 준비하는 정책의 출발점이 되길 바란다”며 “경기도의회가 현장의 목소리를 정책으로 연결하는 창구가 되겠다”고 말했다.

이날 전윤숙 경기도 급식관리지원센터 실무자협의회 회장은 “센터는 지난 10년간 도민의 식탁을 지켜온 가장 가까운 기관이지만, 국비·도비 구조가 불안정해 현장은 버티고 있다”며 현실을 전했다.

또한 경기도의회 박상현 기획재정위원은 “급식관리지원센터는 취약계층의 식생활 안전망”이라며 “국비 의존 구조를 개선하고 도비 보조비율을 높이는 것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현장에서는 디지털 식습관 교육, 데이터 기반 영양관리 확대, 면허수당 신설 등 실질적 처우 개선 방안도 제시됐다.

참석자들은 “안정적 예산 확보와 인력 지원이 곧 아이들의 밥상 안전으로 이어진다”며 공공급식의 중요성에 뜻을 모았다.

정경자 의원은 끝으로 “급식관리지원센터는 단순한 위생기관이 아니라 도민의 건강을 지키는 첫 번째 방어선”이라며 “공공급식의 품질과 지속가능성을 보장하기 위한 입법·재정적 지원을 계속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이날 토론회에는 경기도의회 김진경 의장, 고영인 경제부지사, 백현종 국민의힘 대표의원, 최종현 더불어민주당 대표, 이선구 보건복지위원장 등이 영상으로 축하 메시지를 전했으며, 현장에는 임상오 안전행정위원장과 윤충식·한원찬 의원 등 다수의 의원이 참석해 공공급식의 미래 비전에 공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