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윤경 부의장(右 첫번째)이 11월 4일 경기도의회 부의장실에서 경기도일자리재단 관계자들과 ‘청년 엔지니어 육성사업’ 추진 현황을 공유하고 향후 지원 방향을 논의했다.
[프레스큐=공경진 기자] 경기도의회 정윤경 부의장(민주, 군포1)이, 지난 4일 경기도의회 부의장실에서 경기도일자리재단 관계자들과 ‘청년 엔지니어 육성사업’ 추진 현황을 공유하고 향후 지원 방향을 논의했다.
‘청년 엔지니어 육성사업’은 대학–기업–청년이 함께 참여하는 조기취업형 계약학과 기반의 정책사업으로, 예비 기술 인재를 조기에 발굴하고 청년 고용과 지역 정착, 산업 현장의 기술 인력 확보를 동시에 지원하는 것이 핵심이다.
정윤경 부의장은 “청년들이 일자리를 찾아 지역을 떠나고, 남겨진 도시는 활력을 잃고 있다”며 “일자리와 교육, 정착을 하나로 묶은 이 사업은 청년과 지역 모두를 살리는 실질적 정책 모델”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또 “청년이 머무르지 않는 지역은 학교가 사라지고, 기업이 떠나며, 공동체의 기반도 무너진다”며 “청년이 경기도에 자리 잡고 삶의 터전을 이어갈 수 있도록 일자리·주거·돌봄을 아우르는 종합 인구정책을 동료 의원들과 함께 적극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청년 엔지니어 육성사업’ 참여자는 대학 입학과 동시에 협약 기업 취업이 확정되며, 1학년에는 학업에 집중하고 2학년부터는 일과 학습을 병행해 실무 경험을 쌓는다. 3년 만에 조기 졸업이 가능하며, 참여 기업은 기업 부담 등록금의 최대 80%(연 320만원)를 지원받는다.
또한 청년이 지역 내에서 협약 기업 근무를 지속할 경우, 매월 30만원의 ‘고용정주수당’을 지원받아 지역 정착을 돕는다.
올해 경기도일자리재단과 시흥시가 시범 추진한 사업에는 한양대 ERICA, 한국공학대학교, 경기과학기술대학교가 참여했으며, 시흥스마트허브 내 23개 중소기업이 청년 30명을 2026학년도 계약학과 신입생으로 채용할 예정이다.
이 사업은 청년 인재의 지속 가능한 고용 모델이자 지역소멸 대응정책으로 평가받고 있으며, 2026년에는 경기도 내 2개 시·군으로 확대 운영될 예정이다.
정윤경 부의장은 “청년 일자리는 단순한 취업 문제가 아니라 지역의 미래와 직결된 생태계의 문제”라며 “경기도가 청년이 머무는 도시, 청년이 미래를 설계할 수 있는 지역으로 자리 잡을 수 있도록 의회가 정책적 뒷받침을 이어가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