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병길 의원이 11월 10일 열린 제387회 정례회 경기도사회서비스원 행정사무감사에서 질의를 하고 있다.
[프레스큐=공경진 기자] 경기도의회 보건복지위원회 이병길 의원(국힘, 남양주7)은, 지난 10일 열린 제387회 정례회 경기도사회서비스원 행정사무감사에서 “ESG 경영을 표방하는 기관으로서 사회서비스원이 환경과 사회적 책임 분야 모두에서 매우 미흡한 수준에 머물러 있다”며 전면적인 개선을 촉구했다.
이병길 의원은 “지구온난화와 탄소감축이 전 세계적 과제인 시대에, 경기도사회서비스원의 녹색제품 구매율이 2024년 기준 1.2%에 불과하다는 것은 충격적”이라며 “같은 산하기관인 경기복지재단이 99.7%를 달성한 점을 감안하면 사실상 ‘ESG 경영’의 실천 의지가 없는 수준”이라고 비판했다.
이어 “2022년부터 3년 연속 5% 미만에 머물고 있다”며 “구체적인 개선 계획과 실질적 이행 점검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에 대해 사회서비스원 관계자는 “법정 의무비율에는 녹색제품 항목이 포함되지 않았지만, 의원님 지적대로 개선이 필요하다”며 “향후 본부뿐 아니라 각 센터 단위에서도 구매를 확대하고 수치를 명확히 반영하겠다”고 답했다.
이병길 의원은 또 “사회서비스원이 2024년 ESG 경영 전략을 수립했다고 하지만, 녹색제품 구매율이 오히려 0.6% 수준으로 낮아졌다”며 “이는 전략이 선언에 그치고 실행으로 이어지지 못한 명백한 실패 사례”라고 질타했다.
이어 그는 장애인 의무고용률 미달 문제도 지적했다.
“사회서비스원이 3년 연속 법정 고용률을 지키지 않아 부담금을 납부한 것은 도민 세금 낭비”라며 “2023년 3,300만 원, 2024년 1,300만 원을 납부한 사실은 매우 부적절하다”고 밝혔다.
이병길 의원은 “도민의 세금으로 운영되는 공공기관이 법정 의무를 지키지 않는다면, 민간에 대한 도의적 설득력도 상실된다”며 “사회서비스원이 앞장서서 장애인 고용과 사회적 책임 이행에 모범을 보여야 한다”고 덧붙였다.
끝으로 이병길 의원은 “ESG 경영은 선택이 아닌 공공기관의 기본 원칙”이라며 “경기도 사회서비스원이 친환경, 사회적 책임, 투명 경영이라는 세 축을 실질적으로 실행할 때 비로소 도민의 신뢰를 얻을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병길 의원의 이날 발언은 경기도 사회서비스원이 ‘복지’ 기관의 틀을 넘어 지속가능한 사회책임경영 체계로 전환해야 한다는 메시지를 던진 것으로 평가된다.
그는 “ESG는 유행이 아닌 공공기관의 존재 이유”라며, “환경과 사람, 투명성이 조화를 이뤄야 진정한 복지가 완성된다”는 점을 분명히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