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7월 8일 대공론장에 참여한 주민들이 단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프레스큐=공경진 기자] 구로구는, 오는 26일 오후 3시 구청 강당에서 주민과 행정이 함께 지역 현안을 논의하는 ‘2025 함께여는 우리동네 공론장’을 개최한다.
이번 공론장은 민선 8기 핵심 비전인 ‘민관협력도시 구로’를 실현하기 위한 협치 기반 정책 행사로, 주민 50여 명과 사업 담당 직원들이 한자리에 모여 지역 정책의 방향성과 개선점을 자유롭게 토론할 예정이다.
구로구는 지난 9월 직원 협력 컨설팅을 통해 구정의 계속사업 8개를 사전 점검한 뒤, 민관협력도와 주민 만족도가 높은 두 개 사업을 공론장 논의 주제로 선정했다.
선정된 사업은 구로 동네배움터 운영과 우리동네 동행정원 조성으로, 둘 다 주민 참여를 기반으로 지역의 교육·환경 공동체를 강화하는 데 초점을 둔 사업들이다.
공론장은 5개 조로 나뉘어 진행된다. 주민과 담당 공무원이 한 조를 이루고, 퍼실리테이터 2명과 협치 전문 강사의 진행 아래 사업부서의 설명을 듣고 문제점을 공유한 뒤 정책 개선 방향을 함께 도출하게 된다.
주민들은 사업 운영 과정에서 느낀 현실적인 의견과 기대를 제시하고, 행정은 정책의 구조와 추진 상황을 설명하며 협력점을 찾아가는 방식으로 운영돼 실질적인 협치가 이뤄질 것으로 예상된다.
구로구는 이번 공론장이 단순 의견 수렴을 넘어 주민 스스로 정책 과정에 참여하는 ‘참여형 행정’의 기반을 강화하는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특히 교육과 지역공동체, 도시녹지 조성 등 주민 생활에 직접 영향을 미치는 사업이 논의 안건으로 선정된 만큼 현장에서 도출될 개선 의견들이 향후 정책에 반영될 가능성도 높다.
참가 신청은 오는 25일까지 네이버폼 또는 구로구 기획예산과를 통해 접수할 수 있으며, 다양한 연령과 배경을 가진 주민이 참여할 수 있도록 문턱을 낮췄다.
장인홍 구로구청장은 “주민이 직접 참여해 지역 현안을 논의하는 실질적인 공론장이라는 점에서 큰 의미가 있다”며 “구로구는 앞으로도 주민의 참여와 협력을 기반으로 민관협치도시를 실현해 나가겠다”고 강조했다.
지역 단위 정책은 행정의 판단만으로는 현실성과 지속가능성을 확보하기 어렵다. 구로구가 추진하는 이번 공론장은 정책 결정 과정에 주민을 직접 참여시키는 ‘협치 행정’ 실험이라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특히 교육·환경·공동체 등 구민의 일상과 맞닿은 사업들을 테이블에 올렸다는 점에서 공론의 질적 수준도 기대된다.
주민의 의견이 실제 정책으로 반영되는 구조가 정착된다면, 구로구의 협치 모델은 서울 자치구 전반으로 확산될 가능성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