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종배 의원이 경기도의회 도시환경위원회 수자원본부를 대상으로 한 행정사무감사에서 질의를 하고 있다.

[프레스큐=공경진 기자] 경기도의회 도시환경위원회 김종배 의원(민주, 시흥4)은, 지난 17일 수자원본부를 대상으로 한 행정사무감사에서 비점오염원 저감시설 노후화부터 수돗물 적수·오염 사고 증가까지 상수도 전반의 구조적 문제를 조목조목 지적하며 “경기도의 상수도 안전은 어느 한 시군의 문제가 아니라 도민 전체의 생명과 직결된 사안”이라고 강조했다.

김종배 의원은 경기도가 운영하는 비점오염원 저감시설 88개소 중 운영비 지원을 받는 66개 시설의 관리 실태를 확인하며, 설치 후 20년 이상 경과한 시설이 용인 10개소, 광주 11개소 등 다수임에도 ▲부품 교체 기준 ▲전면 교체 기준 ▲교체 이력 등 기본 관리자료가 전혀 없는 사실을 지적했다. 그는 “시설을 만들었으면 관리 기준이 따라야 하는데, 경기도는 ‘언제 고치고 무엇을 교체해야 하는지’조차 파악하지 못한 상태”라고 비판했다.

이어 ‘녹물 없는 수도관 개량사업’의 진척 부진도 도마에 올랐다. 경기도는 2025년까지 총 1만 5천 세대를 대상으로 100억 원 규모의 옥내급수관 개선 사업을 추진하고 있으나, 9월 말 기준 실적은 27%인 약 4천 세대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김종배 의원은 “20년 이상 된 노후 옥내급수관이 얼마나 되는지조차 파악되어 있지 않다”며 “조례나 제도 탓을 하기 전에 도 차원의 세대별 수요조사와 목표관리 체계를 먼저 갖춰야 한다”고 요구했다.

정수장 개선 문제도 이어졌다. 경기도의 고도정수처리시설 보급률은 40개 정수장 중 18개만 완료된 45% 수준으로 서울시 100%에 크게 뒤처진다.

김종배 의원은 “광명정수장은 정수 용량이 지나치게 높게 설정돼 있고, 시흥시가 고도정수가 필요한 지역인지조차 판단 근거가 없다”며 “수자원본부가 기본 계획 수립조차 제대로 하지 못한 것”이라고 질타했다.

수돗물 적수·오염 사고 증가도 심각한 문제로 제기됐다. 김종배 의원은 “배관 노후, 공사 중 수압 변동 등 명확한 원인이 있는데 사고는 매년 두 배 가까이 증가하고 있다”며 “이제는 사고 수습이 아니라 사전에 위험 요인을 제거하는 선제적 예방체계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김종배 의원은 “비점오염원 시설, 급수관, 정수장, 배관 어느 하나도 소홀히 관리할 수 없다”며 “경기도는 상수도 모든 분야를 전면적으로 진단해 도민이 안심할 수 있는 통합 관리 체계를 즉시 구축해야 한다”고 강조하며 질의를 마무리했다.